맨위로가기

시안 Y-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안 Y-7은 중국의 시안 항공기 공업에서 개발한 쌍발 터보프롭 여객기 및 수송기이다. 1960년대에 소련의 안토노프 An-24를 면허 생산하는 것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자체 개발을 통해 다양한 파생형이 등장했다. Y-7은 전술 수송기, 군용 수송기, 여객기 등 다양한 형태로 생산되었으며, MA60과 같은 서구화된 모델도 개발되었다.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으며, 일부 사고 사례가 보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수송기 - 산시 Y-8
    산시 Y-8은 소련 An-12 수송기를 역설계하여 중국에서 개발 및 생산된 중형 수송기로, 다양한 파생형을 통해 인민해방군 공군과 해군 항공대에서 수송, 초계, 조기 경보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고신 프로젝트를 통해 특수 임무기로 개조되어 일부는 해외에도 수출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수송기 - 산시 Y-9
    산시 Y-9는 중국에서 개발되어 2010년 첫 비행에 성공한 중형 수송기로, 25톤의 화물 수송이 가능하며 인민해방군 공군에서 다양한 특수 목적 파생형으로 운용되며 군사적 긴장을 야기하기도 한다.
  • 1970년 첫 비행한 항공기 - 록히드 L-1011 트라이스타
    록히드 L-1011 트라이스타는 록히드사에서 제작한 3발 엔진의 광폭 동체 중장거리 제트 여객기로, 맥도넬 더글러스 DC-10과 경쟁하며 개발되었으나 엔진 문제 등으로 록히드가 민간 항공기 시장에서 철수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 1970년 첫 비행한 항공기 - 맥도널 더글러스 DC-10
    맥도널 더글러스 DC-10은 3발 엔진 광동체 여객기로, 장거리 노선에서 록히드 L-1011 트라이스타와 경쟁했으며, 군용 공중 급유기인 KC-10 익스텐더로도 개발되었으나, 1970년대 잦은 사고로 안전성 우려를 낳았지만 설계 결함 개선과 정비 노력으로 사고 발생률을 줄였고, 현재 일부 기체는 화물 수송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 소련-중국 관계 - 다롄시
    다롄시는 랴오닝성 남단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경제 특구로서, 러시아와 일본 점령기를 거쳐 중국에 반환되었고, 개혁 개방 이후 경제 발전과 함께 환경 및 사회 문제에 직면하며, 다양한 산업과 무역, 관광 자원을 바탕으로 중국 동북부의 주요 도시로 성장하였다.
  • 소련-중국 관계 - 동북항일연군
    동북항일연군은 1936년 중국 공산당의 지휘 아래 만주 지역 항일 무장 세력을 통합하여 창설되었으며, 만주와 한반도에서 일본 제국주의를 몰아내고 민족 독립을 쟁취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다가 일제의 탄압으로 소련으로 이동, 1945년 일본 패전 후 북한으로 귀환하여 권력을 장악했다.
시안 Y-7
개요
중국 민용 항공 AN0193499의 시안 Y-7-100
중국 민용 항공의 Y-7-100
기종여객기 / 화물기
원산지중국
제작사시안 항공기 산업 공사
설계자(정보 없음)
첫 비행1984년 2월 20일
도입(정보 없음)
퇴역(정보 없음)
현황운용 중, 생산 중
주요 운용 국가(정보 없음)
생산 대수103대
기반 모델안토노프 An-24
안토노프 An-26
파생 모델시안 MA60
명칭
중국어运-7
병음Yùn-qī

2. 개발

안토노프 An-24를 수입했던 중국은 이 항공기와 엔진의 생산 라이선스 협상을 진행했다. 1966년, 시안 항공기 공업은 An-24의 현지 생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1970년 12월 25일, 중국에서 조립된 첫 An-24T가 첫 비행을 했다.

1977년 시안 항공기 공장에서 생산이 시작되었지만, 문화 대혁명의 영향으로 진척이 느려졌다. 1982년 4월 17일, 베이징 인근 난위안 공군 기지에서 사전 생산 항공기가 공개되었다. Y-7의 동력원으로는 WJ-5A1 터보프롭 엔진이 선택되었다. 첫 번째 생산 항공기는 1984년 2월에야 비행을 했는데, 이는 라이선스 취득에서 생산까지 18년이 걸린 느린 진척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초기 Y-7은 창문이 모두 갖춰져 있고 부스터 제트 엔진이 장착된 An-24RV와 같았다. 초기 인도 물량의 대부분은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PLAAF)에 주로 수송기로 인도되었으며, 일부는 중국 민항국(CAAC)을 위해 52석 여객기 형태로 인도되었다. 초기 라이선스 생산 이후, Y-7은 An-24와 별도로 개발되었으며, 시안 MA60 (Modern Ark) 시리즈로 이어지는 일련의 업그레이드를 거쳤다.

Y-7의 설계 및 제작은 소련에서 수입한 An-24를 데드 카피하여 이루어졌다. 초기 생산형은 "Y-7"으로 불리며, 1970년에 시제기가 첫 비행을 했다. 1982년 4월에 외부에 공개되었으며[6], 1984년부터 양산이 시작되었다. 1985년에는 개량형인 Y-7-100이 개발되었다.[6]

3. 파생형

Y-7은 초기 생산형 외에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 Y-7E: 더 강력한 엔진을 장착한 "고고도" 버전으로, 1994년 7월에 첫 비행을 했다.[7] 소련의 An-24 설계를 기반으로 한다.[8]
  • Y-7G: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PLAAF)을 위해 제작된 MA60의 군용 변형이다.[1]
  • Y-7H-500: 1994년에 인증된 Y-7H의 민간 변형이다.
  • Y-14: An-26 복사본이자 Y-7H의 원래 명칭이다.[1]
  • Y-7-100C1/C2/C3: 장비가 변경된 5인승 변형이다.[7]
  • Y-7-200: 새로운 항공 전자 장비를 장착하고 윙렛이 없는 파생형이다.[1]
  • Y-7-500: 현재 생산 중인 최신형이다.

3. 1. Y-7-100

홍콩 항공 기술 회사(HAECO)와 협력하여 개발된 개선된 버전으로, 재설계된 조종석과 객실, 그리고 윙렛을 갖추고 있다.[1] 서방 공급업체에서 제공하는 새로운 항공 전자 장비를 갖추어 여객 객실 내부가 업그레이드되었다. 비행 승무원은 3명으로 줄었고, 52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

3. 2. Y-7-200A

프랫 & 휘트니 PW127C 터보프롭 엔진으로 교체하고, 조종 계통을 미국제로 교체한 개량형이다.[1] 동체를 1m 연장하여 수송 능력을 향상시켰다. 1993년에 첫 비행을 했다.[6] 윙렛은 없다.

3. 3. Y-7-200B

중국제 WJ-5A-1G 엔진을 사용하고, 미국제 기기로 조종 계통을 갱신하였으며, 동체를 74cm 연장한 개량형이다. 1990년에 첫 비행을 하였다.[6]

3. 4. Y-7H

霍|huò중국어 - 화물)는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을 위해 제작된 후방 적재 램프가 장착된 An-26의 역설계 항공기로, 1992년에 생산이 시작되었다.[1]

3. 5. HYJ-7

HYJ-7은 H-6 폭격기 조종사 및 승무원 훈련용으로 개발된 기종이다.[1] HM-1A 폭격 조준기, 레이더, TNL-7880 통합 항법 시스템을 탑재하여 실전과 유사한 훈련 환경을 제공한다.[1]

3. 6. JZY-01 / Y-7 AWACS

JZY-01은 항공모함 탑재 공중 조기 경보 및 통제(AEW&C) 실험기이다.[3] JZY는 젠(舰) 자이(载) 위(预)를 의미하며, 항공모함 탑재 AEW&C를 뜻한다. E-2 호크아이와 비슷하게 4개의 수직 안정판을 가지고 있으며, 시안 KJ-600의 테스트베드로 활용되고 있다.[3]

JZY-01은 6엽 프로펠러를 채용하고, WJ-6C 엔진으로 교체되었으며, 수직 꼬리 날개가 4장으로 늘어났다.[9] 함상형을 목표로 한 테스트 베드로 여겨지지만, 항공모함 운용을 위한 캐터펄트 사출용 론치 바 및 어레스팅 후크 장비는 확인되지 않았다.[9]

3. 7. MA60

시안 MA60은 더 많은 서방 고객을 유치하고 공동 감항성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작된 Y-7의 서구화된 변형이다.[1]

4. 운용 국가



과거 Y-7 운용 국가는 다음과 같다:

4. 1. 현재 운용국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4]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4]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항공대[4]

4. 2. 과거 운용국

5. 제원 (Y-7-100)

Y-7-100은 Y-7의 한 종류이다.

Y-7-100 제원[1][10]
구분내용
승무원3명 (운항 승무원 2명)
수송 능력승객 52명 또는 화물 5500kg
길이24.218m
날개폭29.666m
높이8.553m
날개 면적75.26m2
공허 중량14988kg
최대 이륙 중량21800kg
엔진둥안 WJ-5A 터보프롭 엔진 2개 (각 2400shp)
최대 속도503 km/h
순항 속도6000m 고도에서 423 km/h
항속 거리최대 탑재량 시 910km, 최대 연료 시 1982km
최대 상승 고도8750m
이륙 거리최대 이륙 중량 시 640m
착륙 거리최대 착륙 중량 시 645m


5. 1. 일반 특성


  • 승무원: 3명 (운항 승무원 2명)[10][1]
  • 수송 능력: 승객 52명[1] 또는 화물 5500kg[10]
  • 길이: 24.218m[10][1]
  • 날개폭: 29.666m[10][1]
  • 높이: 8.553m[10][1]
  • 날개 면적: 75.26m2[10][1]
  • 공허 중량: 14988kg[10][1]
  • 최대 이륙 중량: 21800kg[10][1]
  • 엔진: 둥안 WJ-5A 터보프롭 엔진 2개[1] (각 2400shp)[1]
  • 순항 속도: 6000m 고도에서 423kmh[1]
  • 항속 거리: 최대 탑재량 시 910km, 최대 연료 시 1982km[1]

5. 2. 성능


  • 최대 속도: 503kmh[10]
  • 순항 속도: 6000m에서 423kmh[1]
  • 항속 거리: 최대 탑재량 910km, 최대 연료 1982km[1]
  • 최대 상승 고도: 8750m[1]
  • 엔진: 둥안 WJ-5A 터보프롭 엔진 2기 (각 2400shp)[1]
  • '''이륙 거리:''' 최대 이륙 중량 시 640m[1]
  • '''착륙 거리:''' 최대 착륙 중량 시 645m[1]

6. 사건/사고

우한 항공 343편이 2000년 6월 22일 번개를 맞아 융펑 시타이 인근에 추락하여, 탑승객 42명 전원과 지상에 있던 7명이 사망했다. 이 사고는 Y-7과 관련된 최악의 사고로 기록되었다.

2006년 10월 19일에는 중국 인민 해방군 공군의 Y-7기가 헝수이 인근 밀밭에 추락하여 2명이 사망했다.[1]

참조

[1] 서적 Chinese Aircraft:China's aviation industry since 1951 https://archive.org/[...] Hikoki Publications
[2] 서적 Antonov's Turboprop Twins https://archive.org/[...] Midland
[3] 웹사이트 JZY-01/Y-7 AEW http://defense.chari[...] 2015-07-03
[4] 웹사이트 World Air Forces 2022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 2022-07-16
[5] 웹사이트 The Incomplete Guide to Airfoil Usage https://m-selig.ae.i[...] 2019-04-16
[6] 간행물 世界航空機年鑑2007-2008 酣燈社
[7] 문서 Chinese Aircraft 2010-09
[8] 문서 Antonov's Turboprop Twins 2010-09
[9] 뉴스 China's new carrier-borne Airborne Early Warning aircraft can't operate from an aircraft carrier http://theaviationis[...]
[10] 문서 Chinese Aircraft
[11] 문서 Antonov's Turboprop Twi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